진정한 삶의 광장 - 최인훈의 광장을 읽은후 -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09-20 14:36
본문
Download : 진정한 삶의 광장 - 최인훈의 광장을 읽고 -.hwp
인간은 사회적 동물이다.
개인 중심주의냐 사회 중심주의냐 하는 논란은 19세기 이후 사회학자나 심리학자들의 주된 논쟁거리였다. 그리고 바람직한 인간의 삶이란 이 두 가지 삶의 방식이 상호 관계와 작용 속에서 균형을 이루는 것이며, 그 과정에서 한 사회의 history(역사) 적 조건을 주체적으로 수용해 나갈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이 책을 읽고 독후감을 쓰시려는 분들과 빠른 시간안에 이 책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를 하시려는 분들에게 많은 도움이 되리라 생각하며, 다들 좋은 레포트 쓰시길 바랍니다!Kn2018800_진정한삶의광장-최인훈의광장을읽고- , 진정한 삶의 광장 - 최인훈의 광장을 읽고 -감상서평레포트 ,
Kn2018800_진정한삶의광장-최인훈의광장을읽은후-
순서
설명
이 보고서는 `최인훈`저, 「광장」에 대한 독서report입니다.
광장>의 작가는 이명준을 통해 북쪽의 사회 구조가 갖고 있는 폐쇄성과 집단 의식의 강제성을 고발하면서 동시에 남쪽의 사회적 불균형과 방일한 개인주의를 비판한다. 그러나 월북해서 바라본 북한 사회도 그가…(省略)
,감상서평,레포트
레포트/감상서평
이 보고서는 `최인훈`저, 「광장」에 대한 독서감상문입니다. `밀실`이란 자신만의 내밀한 삶의 공간이며, `광장`이란 사회적 삶의 공간이다.
<광장>을 읽으면서 나는 삶의 방식에 대해 많은 생각을 해 보았다. 때로는 개인 중심주의가 득세하고 때로는 사회 중심주의가 득세했지만, 대부분의 사람들은 이제 `개인적인 것과 사회적인 것은 불가분의 관계에 있다`는 관점을 받아 들이고 있따 <광장>에서 가장 중요한 공간 또는 관념은 `밀실`과 `광장`이다. 우리 인간이 산다는 것은 개인적인 삶의 조건도 중요하지만 사회적인 삶의 조건 또한 중요하다. 그에게 있어서 남한 사회는 더 이상의 광장이 아니었다. 아울러 명준은 남한의 사회 현실이 타락과 방종 부패, 무질서 그 자체임을 인식하고 환멸한다. 철학도이면서 윤애와의 행복한 사랑을 꿈꾸던 남쪽에서의 이명준의 밀실은, 이념이 달라서 월북하고 북쪽에서 활발한 활동을 하는 아버지를 두었다는 이유 때문에 감시 받고, 고통 받아야 했다. 그리고 개인의 손익과 사회의 손익이 배치되었을 때, 개인의 이익보다는 사회의 이익에 더 비중을 둘 수밖에 없다. 작품分析(분석)을 하고 본인의 감상내용을 적었습니다. 이 책을 읽은후 讀書感想文을 쓰시려는 분들과 빠른 시간안에 이 책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를 하시려는 분들에게 많은 도움이 되리라 생각하며, 다들 좋은 레포트(report) 쓰시길 바랍니다!


Download : 진정한 삶의 광장 - 최인훈의 광장을 읽고 -.hwp( 28 )
진정한 삶의 광장 - 최인훈의 광장을 읽은후 -
다. 이러한 남한의 이념 체계는 명준을 회의하게 한다. 즉 남과 북 어느 쪽도 진정한 인간의 삶을 충족시키기 어렵다는 판단을 제시한다. 개인적으로 모든 것이 구비되었고 만족스럽다 하더라도 사회가 개인의 이상에 맞지 않다거나, 사회의 다른 구성원들의 삶의 형태가 개인에게 피해를 주거나 불편을 준다면 그 개인의 삶은 행복하다고 할 수가 없다. 작품분석을 하고 본인의 감상내용을 적었습니다.